"간첩 수사 관련 대화였다" vs "싹 다 잡아들이라 지시" 진실 공방 |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을 비롯한 증인들이 각각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헌법재판소 제공) 2025.2.4/사진=뉴스1화상 |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의 전화 통화가 계엄과는 무관하며, 간첩 검거와 관련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홍 전 차장은 법정에서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체포 대상자 명단을 받아 적었다고 증언하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직접 발언권을 얻어 당시 홍 전 차장과 두 차례 통화한 내용을 설명했다. 그는 "첫 통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출장 중인 것으로 착각해 국정원 운영을 당부한 것이고, 두 번째 통화는 해외 순방 시 국정원의 경호 지원에 대한 격려 차원에서 걸었다"고 밝혔다. 또한, "비상계엄과 관련한 지시는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홍 전 차장의 주장은 달랐다. 그는 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싹 다 잡아들이라"는 직접적인 지시를 받았으며, 이후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요청받았다고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은 "대통령이 격려 차 전화를 걸었다는 주장은 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반박하며, "국무회의 직후 그 늦은 시간에 갑자기 격려 전화를 했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의 증언이 신빙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으며, 체포나 위치 추적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계엄이 선포되면 방첩사가 국정원보다 우위에 있는 상황에서 1차장에게 계엄 관련 지시를 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대통령이 한 말은 간첩 검거와 관련된 내용일 뿐, 계엄 선포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홍 전 차장은 "당시 정황상 비상계엄과 관련한 지시로 이해할 수밖에 없었다"고 맞섰다.
이번 변론에서 윤 대통령은 다소 격앙된 태도로 증인의 발언에 반박하며 책상을 내려치는 등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날 법정에서는 윤 대통령이 증인에게 직접 질문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주로 변호인을 통해 반론을 제기했다.
scottchoi15@fnnews.com 최은솔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