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SKT 해킹 사태는 이재명 때문?… 소환된 '이재명 테마주' 이유 알고 보니 [팩트, 첵첵첵]

파이낸셜뉴스 2025.04.28 06:00 댓글 0

유심칩으로 선거자금 마련·부정선거 명부·中 통제용 프로그램 설치
음모론 "이재명 특수관계 코나아이가 SKT에 유심 제공한다" 주장
코나아이 "SKT에 유심칩 공급 안 해… 허위사실 유포시 강경대응"


코나아이는 SK텔레콤의 경우 자회사인 코나엠을 통해 유심카드 바디(왼쪽)만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코나아이는 KT와 LG U+엔 유심카드 바디에 유심칩을 결합한 유심카드를 공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시스
코나아이는 SK텔레콤의 경우 자회사인 코나엠을 통해 유심카드 바디(왼쪽)만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코나아이는 KT와 LG U+엔 유심카드 바디에 유심칩을 결합한 유심카드를 공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시스

레거시 미디어부터 유튜브·SNS까지,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은 다양해졌습니다. 덩달아 가짜뉴스와 허위정보가 범람하는 시대입니다. [팩트, 첵첵첵]은 뼛속까지 팩티즘을 추구합니다. 논란이 된 뉴스나 소문의 진위를 취재하고, 팩트를 확인합니다. "이 뉴스, 진짜인가요?" 구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제보 바랍니다 <편집자주>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 팩트체크넷 민주파출소는 28일 국회소통관에서 진행한 일일 브리핑에서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을 민주당과 결합시켜 음모론을 유포한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밝혔다.

음모론은 지난 22일 해킹 사건이 보도되고 24일부터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 시기와 맞물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급속히 퍼졌다.


민주당은 온라인에 제기된 음모론을 3가지로 분류해 설명했다.

먼저 선거자금 마련과 관련해 '지난 2일 강원도 옥계항에서 적발된 2t 마약이 민주당의 돈줄이었다’는 기존 음모론과 연결했다. 민주당과 민주당 대선 후보가 선거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SK텔레콤 해킹 사건을 일으켰다는 주장이 퍼졌다는 게 민주당의 설명이었다. 일각에선 민주당 후보와 관련된 회사가 유심을 제작해 SKT로부터 대금을 선지급 받아 수백억 원의 자금을 유출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어 민주당이 꼽은 음모론은 제21대 대통령선거의 부정선거를 위해 탈취된 유심 정보로 명부를 준비했다는 내용이었다. SK텔레콤 해킹 사건이 국민의 민감정보를 해킹해 부정선거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근거 없는 소문이 퍼지고 있다고도 했다.

마지막으로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를 통한 공산화였다. SK텔레콤이 무상으로 교체해 줄 유심칩에 중국 통제용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고 이를 통해 중국이 대한민국을 집어삼키려 한다는 주장이었다.

국민소통위는 "허무맹랑한 내용이 유포되고 있다"며 "민주당을 겨냥한 음모론"이라고 했지만, 음모론이 나오게 된 이유는 언급하지 않았다.


SK텔레콤 해킹 사건과 민주당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내용은 제각각이지만, 온라인에 떠도는 내용을 종합해 보면 공통점이 있다. 27일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이재명 후보와 '이재명 테마주'로 꼽히는 코나아이다.

X(옛 트위터)에는 'SK 유심 코나아이에서 만듦. 이재명=코나아이=지역화폐'라는 글이 올라왔다.

스마트카드 관련 종합 솔루션 업체인 코나아이는 이 후보가 경기도지사이던 지난 2019년 당시 경기지역 화폐 사업 운영업체로 선정된 뒤 꾸준히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돼 왔다.

특히 스마트카드 관련 종합 솔루션 업체로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인증·보안을 위한 유심 카드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 음모론에 불을 지폈다.

온라인 커뮤니티엔 "수량을 맞춰 놓지 않았다면 유심칩 2300만개를 월요일까지 어떻게 맞추냐. 사전에 준비한 수량일 확률이 크다"거나 "반국가 세력(민주당)들은 돈이 필요하고 중국은 정보를 털어가기 위해 모조의 거래를 한 게 아닐까 의심된다"는 글들이 올라왔다.

이에 "유심칩 교체하면 안 된다"거나 "통신사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음모론을 키운 코나아이와 통신업계에 관련 사실을 확인했다.

스마트폰 유심 구성. &#x2F;사진&#x3D;코나아이
스마트폰 유심 구성. /사진=코나아이

코나아이 관계자는 "스마트폰 유심은 유심칩과 칩이 부착되는 유심카드 바디로 구분된다"며 "SK텔레콤에는 자회사인 코나엠에서 생산한 유심카드 바디만 공급할 뿐 유심칩은 공급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여기서 유심카드 바디는 크기가 작아 잃어버리거나 손상될 위험이 큰 유심칩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부품이다. 유심칩을 보호하는 것 외에 별도의 기능은 없다.

그러면서 "유심칩을 포함한 스마트카드는 SK텔레콤, KT, LG U+ 등 이동통신사(MNO)의 별도 인증을 받아야 납품이 가능하다"면서 "현재 코나아이는 SK텔레콤으로부터 인증받은 유심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실제 SK텔레콤은 엑스큐어, 유비벨록스, 탈레스, SK텔링크 등 4개 업체로부터 유심칩을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음모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라면 이동통신사를 변경하는 데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나아이 관계자는 "유심칩과 유심카드 바디를 생산해 KT와 LG U+에 공급하고 있다"고 했다.

이 같은 내용은 전자공시시스템이 올라온 코나아이 사업보고서에도 있다. 사업보고서에는 "2011년부터 통신용 유심을 LG유플러스와 KT에 공급 중"이라고 밝혔으나, SK텔레콤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음모론에 대해 강경한 입장도 전했다.

코나아이 관계자는 "현재 일부 유튜브와 미디어에서 당사가 SK텔레콤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과 연관됐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나,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러한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강경 대응할 예정"이라고 경고했다.
#SK텔레콤 #코나아이 #유심칩 #음모론 #이재명 테마주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