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80%·기관이 10%대 차지
개미는 사전교육·모의거래 필수
그나마 한국증권금융서만 빌려야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외국인 놀이터'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개인에게 불리하다는 지적에 제도적 장치를 손질했으나 여전히 외국인 거래 비중이 80% 이상이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5200억원으로, 이 중 개인 비중은 1.34%(70억원)에 그쳤다. 외국인이 무려 80.38%(4180억원)를 차지했고, 기관이 18.07%(940억원)였다. 개인과 외국인 간 거래대금 격차는 60배에 달했다.
공매도 전면금지 직전(2023년 11월 6일) 개인의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거래대금 비중이 2.4%였던 것에 비해 개인 참여가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코스닥 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전체 거래대금(1080억원) 중 외국인이 84.25%(910억원), 기관이 13.88%(150억원)를 각각 차지했으며 개인은 1.85%(20억원)에 불과했다.
공매도는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주가가 하락했을 때 싼값에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방식이다.
그간 공매도는 기관과 외국인에게 유리한 제도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에 금융당국은 최근 제도개선을 통해 기관(대차)과 개인(대주)의 공매도 상환 기간을 90일(최장 12개월)로 통일, 기관(대차)과 개인(대주)의 담보 비율도 105%로 맞췄다. 기존에는 기관은 개인과 달리 대차거래를 무기한 연장할 수 있었고, 기관과 개인 간 신용 차이를 이유로 개인에게는 담보비율 140%가 적용됐다.
전문가들은 공매도 시장의 여전한 '외국인 쏠림'의 배경으로 개인투자자의 낮은 공매도 이해도와 경험 부족을 지목한다. 제도개선이 이뤄졌다고 해도 실제 공매도에 나서기에는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개인이 공매도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사전의무 교육을 수료하고, 모의거래를 거쳐야 한다.
대주 물량과 종목이 부족하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기관은 대차 시장을 통해 필요한 만큼 주식을 빌릴 수 있는 반면 개인은 한국증권금융이 보유한 담보 주식에 의존해야 한다. 이 때문에 개인투자자가 원하는 만큼의 대주 물량을 확보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자본시장연구원 황세운 연구위원은 "개인은 한국증권금융을 제외하고 주식을 빌려올 만한 곳이 없다"며 "투자자들이 원하는 시기에 대주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국증권금융의 대주 서비스를 확대하거나, 새롭게 대주 서비스 주체를 만드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공매도 구조 자체가 개인투자자에게 맞지 않다는 목소리도 있다. 상명대 서지용 경영학과 교수는 "공매도 시장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면 정보 분석력, 다양한 위험관리 수단, 자본력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는 제도개선으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인은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하는 투자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hippo@fnnews.com 김찬미 이승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