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함부로 이름 언급 유감” 김문수, 심상정에 손 내밀었다가 바로 퇴짜

파이낸셜뉴스 2025.05.09 07:11 댓글 0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반이재명 빅텐트’와 관련해 심상정 전 정의당 대표의 도움을 구하겠다던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측 구상이 물거품 됐다.

민주노동당(옛 정의당)은 8일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내고 “당사자와 어떠한 소통도 없이 본인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함부로 이름을 언급하는 것에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와 심 전 대표는 1980년대 노동운동을 함께할 정도로 한때 가까운 사이였다. 1985년 구로동맹파업, 서울노동운동연합(서노련) 결성 등에 힘을 합쳤고 1986년 5·3 인천민주화운동으로 체포된 김 후보가 고문을 받으면서도 심 전 대표의 위치를 말하지 않은 일화도 유명하다. 심 전 대표가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한 혐의로 수배 명단에 오르자 10년간 이어진 수배 생활을 김 후보가 돌봐주기도 했다.

또 심 전 대표의 남편인 이승배씨도 김 후보가 맺어준 인연이다. 하지만 1990년대 초 노동운동권을 떠나자는 김 후보의 제안을 심 전 대표가 거절하면서 두 사람은 결별한 것으로 전해진다.

민주노동당은 “심 전 대표는 민주노동당 당원이고,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는 권영국”이라며 “심 전 대표는 노동운동으로 경력을 시작해 정계 은퇴에 이르기까지 김 후보와 달리 일관되게 노동자를 위한 정치를 해왔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1990년 민중당을 창당해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 1994년 정치 노선을 급격히 바꿔 김영삼 전 대통령의 민주자유당에 전격 입당했다. 이로 인해 노동계로부터 '변절자'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보수 정치권에서 경기도지사 등을 지내며 대표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특히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와 함께 극우 정당인 자유통일당을 창당하는 등 심 전 대표와는 상반된 길을 걸어왔다. 반면 심 전 대표는 2004년 민주노동당 비례대표 1번으로 정계에 입문해 진보정당에서만 4선 의원을 지냈고, 지난해 정계에서 은퇴했다.
#정의당 #심상정 #김문수 #국민의힘 #민주노동당


gaa1003@fnnews.com 안가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