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12.3 내란은 민주주의 제도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드러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현직 대통령의 황당무계한 친위 군사 쿠데타는 대화와 타협을 배제한 채 상대를 말살하고 영구집권하겠다는 욕망에서 비롯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와 외환위기의 국난을 딛고 세계 10위 경제 강국으로 성장한 나라"라며 "동시에 독재정권의 억압을 딛고 민주주의를 쟁취한 모범적 민주주의 국가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그러나 여러분 모두가 생생히 기억하시는 것처럼 지난해 12월 3일, 대한민국에서는 감히 상상조차 불가능했던 친위 군사 쿠데타가 벌어졌다"며 "12.3 친위 군사 쿠데타는 전 세계를 두번 놀라게 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첫 번째는 세계 10위 경제 대국에서 대통령의 친위 쿠데타가 벌어졌다는 경악할 사실이고, 두번째는, 총칼을 든 군사 반란을 피 한방울 흘리지 않고, 평화롭게 물리쳤다는 사실"이라며 "경악과 공포는 순식간에 찬사와 경이로움으로 바뀌었다"고 강조?다.
특히 이 대통령은 "지난 겨울부터 이번 여름에 이르기까지 6개월 동안, 대한민국이 절망 속에서 발견한 희망, 퇴행 속에서 발견한 도약의 가능성, 그 어딘가에 세계 민주주의의 현실과 과제가 모두 자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생각이 다른 상대를 제거하겠다는 반민주적인 폭거는 헌법기관에 대한 근거 없는 불신과 폭력으로 이어졌고, 국민이 피땀으로 지켜온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여지없이 짓밟혔다"며 "무엇보다 갈등과 분열의 씨앗을 광범위하게 퍼뜨리며 우리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짚었다.
#이재명 대통령 #12.3 내란 #민주주의 제도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