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포함 전국 12개 지역 동시 집회…노란봉투법 개정·노정교섭 촉구  |
(출처=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이재명 정부를 향한 첫 대규모 집단행동에 나선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 시기의 노동정책을 ‘반노동 유산’으로 규정하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 기조 전환과 노정 대화를 공식 요구할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16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7·16 총파업 대회를 개최한다. 금속노조, 서비스연맹, 민주일반연맹 등 산별노조들도 각각 사전 집회를 마친 뒤 본대회에 합류할 예정이다. 수도권에만 약 1만 명, 전국적으로는 총 3만 명이 파업 대회에 참여할 것으로 민주노총은 예측하고 있다.
서울을 포함해 충북, 세종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강원, 제주 등 12개 지역에서도 총파업 대회가 동시에 진행된다. 민주노총은 오는 19일 오후 3시에는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7·19 총파업·총력투쟁 대행진’을 이어갈 계획이다.
총파업의 핵심 요구는 노조법 2·3조 개정, 이른바 ‘노란봉투법’의 조속한 통과다. 민주노총은 이재명 정부가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 정책을 폐기하고,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노동정책을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비스연맹 소속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대통령실 앞에서 별도의 집회를 연 뒤, 오토바이를 타고 여의도로 행진할 계획이다. 금속노조는 산업 전환 과정에서의 사회적 대화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동참한다.
민주노총은 “모든 노동자의 권리를 위한 정치적 결단”이라고 밝히며, “이재명 정부는 더는 회피하지 말고 노정교섭에 즉각 응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앞서 2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도 “이제는 진짜 노동개혁의 시간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현재 보건의료노조는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 중이며, 찬성 결과가 나올 경우 오는 24일 오전 6시부터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파업이 진행될 경우 24일부터 26일까지는 보건의료조합원들이 서울로 상경해 총파업 대회를 열고, 26일에는 서울역 광장에서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 총파업 투쟁을 포함한 집중 집회를 연다.
총파업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민주노총이 공식적으로 벌이는 첫 전국 단위 대규모 행동이다. 정부의 대응 태도에 따라 향후 노정 관계의 방향과 긴장 수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