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불리시, 뉴욕증시 '화려한 데뷔' 상장 첫날 주가 장중 219% 급등

파이낸셜뉴스 2025.08.14 07:01 댓글 0

ⓒ뉴스1 /사진=뉴스1
ⓒ뉴스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가상자산거래소 불리시(Bullish)가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첫날인 13일(현지시간) 주가가 두 배 이상 급등하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불리시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공모가(37달러)의 2.5배 가까운 90달러에 시초가를 형성했다. 장중에는 118달러(218.9%)까지 오르면서 세차례 거래가 일시 중지되기도 했다. 이후 상승폭을 줄여 공모가 대비 83.78% 오른 68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의 전 의장인 톰 팔리가 최고경영자(CEO)로 있는 불리시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공동창업자 피터 틸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해 화제가 됐다.

기관투자자 중심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며,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토콜과 중앙집중형 보안 체계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케이맨 제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불리시는 지난 2021년 설립 이후 올해 3월 말까지 누적 거래량이 1조2500억달러를 넘어섰다. 가상자산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와 관련 지수·데이터·분석 사업도 보유하고 있다.

불리시는 막대한 양의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도 소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3월 말까지 3개월 동안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1억500만달러 순이익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다.

팔리 CEO는 CNBC 인터뷰에서 “지난 10년간 가상자산 성장의 마지막 단계는 개인 투자자가 주도했지만 이제 기관투자자 물결이 시작됐다”며 “IPO에서의 강한 반응을 보면 지금이 그 시점일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불리시는 이번 상장을 앞두고 목표 주가를 두 번이나 상향 조정했다.

이번 상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친 가상자산 기조와 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이뤄졌다.

미 백악관은 지난달 30일 가상자산 산업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의 '규제 과잉'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혁신 친화적'으로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대표적인 성과로 스테이블코인 관련 '지니어스법(Genius Act)' 처리와 가상자산의 전략 비축 등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가상통화를 401(k) 등 퇴직연금 계좌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도 했다. 이에 가상자산 위험성을 이유로 회피하던 자산운용사들과 투자 관리자들이 가상자산에 투자에 보다 적극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 가상자산은 증권'이라며 규제해 온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의 방침도 뒤집었다. 폴 앳킨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SEC가 과거에 뭐라고 했든, 가상화폐 대부분은 증권이 아니다"라면서 "코인이 증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폭넓은 공시 및 면제 규정에 대한 제안서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비트코인 가격은 연일 상승세다. 미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5시 비트코인 가격은 12만3003달러에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이 12만3000달러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14일 이후 한 달만이다.

이날 가격은 12만3037달러까지 상승하며 지난달 14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 12만3200달러대에 바짝 다가섰다.
#상장 #뉴욕증시 #급등 #주가 #불리시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