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소금 대신 넣으세요” 챗GPT 식단 조언 따랐다가 '이것' 중독자된 60대 男

파이낸셜뉴스 2025.08.14 08:06 댓글 0

챗gpt 정신병 /사진=파이낸셜뉴스 사진DB
챗gpt 정신병 /사진=파이낸셜뉴스 사진DB

[파이낸셜뉴스] 챗GPT를 대표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은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AI의 말을 아무 검증 없이 믿고 따르기엔 아직 위험하다는 사실을 증명해준 사례가 미국에서 발생했다.

미국의 한 60대 남성이 챗GPT의 식이요법 조언을 따랐다가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12일(현지시간) 더힐 등 복수의 매체가 내과 임상 사례 저널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 남성은 소금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알게 된 뒤, 식단에서 소금을 대체할 만한 방법을 찾고 있었다.

챗GPT에게 물어본 결과, 브롬화나트륨을 소금(염화나트륨) 대신 넣으라는 조언을 받은 이 남성은 인터넷으로 브롬화나트륨을 구매해 3개월간 소금 대신 섭취했다. 문제는 브롬화나트륨이 장기간 복용해 체내에 축적됐을 시 중독 증세를 보이며 정신병, 초조, 조증, 망상 등의 신경정신과적 증상뿐만 아니라 기억력, 사고력, 근육 조절 능력 저하를 유발하는 물질이라는 점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몸에는 독성이 축적됐고, 급기야 이웃이 자신을 독살하려 한다는 망상에 사로잡혔다. 결국 그는 편집증과 환각 등 심각한 정신 질환으로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브롬화물 중독이었다.

이 남성은 입원한 뒤에도 병원에서 주는 물에 독이 들었을 수 있다며 마시지 않았고, 병원에서 탈출하려다 강제 입원을 당하기도 했다. 다행히 전해질, 항정신병 약물 등을 투여받으며 꾸준히 치료한 결과, 입원 3주 만에 증상이 완화돼 퇴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남성의 사례를 과학계에 보고한 저자들은 "의료 전문가가 염화나트륨의 대체품을 찾는 환자에게 브롬화나트륨을 언급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인공지능(AI)은 과학자와 일반인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할 잠재력을 지닌 도구지만 맥락이 없는 정보를 유포할 위험도 수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소금 #챗GPT #브롬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