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전망치보다 0.9%포인트 하향
올해 수출 증가율 작년보다 7.9%p↓  |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사진=뉴스1 |
[파이낸셜뉴스]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0.9%로 낮췄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 여파와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을 고려해 올해 초 전망치의 절반으로 낮췄다. 다만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비심리 개선 등 영향으로 하반기부터 회복세가 확대돼 내년에는 1.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22일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작년 대비 0.9%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2.0%)보다 1.1%포인트(p) 낮아진다고 본 것이다. 지난 1월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의 1.8%에 비하면 약 8개월 만에 0.9%포인트 낮췄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0%보다 낮고, 국제통화기금(IMF)·한국개발연구원(KDI)·한국은행·아시아개발은행(ADB)의 0.8%보다는 높다.
정부는 올해 1분기(0.0%)와 2분기(0.5%)엔 부진했지만 하반기부터 추가경정예산 등 정책효과가 가시화하며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를 토대로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2배 높은 1.8%로 잡았다.
이번 전망에 미국이 언급한 반도체 품목 관세는 반영되지 않은 점은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정부 전망치는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의 0.8%보다는 각각 0.1%포인트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0%)보다는 0.1%포인트 높다.
올해 두차례 추가 경정 예산 편성으로 올해 성장률이 각각 0.1%포인트씩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으나, 1%대까지 회복하기는 어렵다고 본 것이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하반기에는 거의 1%대 중반 정도 성장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성장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 모든 정책 수단을 다 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번 전망치에는 최근 미국이 언급한 반도체 품목 관세는 반영되지 않았다. 품목 관세가 높은 수준으로 부과될 경우 수출에 위협이 될 수 있다. 김재훈 국장은 "(반도체는) 불확실성이 너무 커 반영하지 않았다"며 "다만 한국은 사실상 최혜국 대우를 받았고 미국에 투자하고 있거나 계획 중인 기업도 많이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정부는 민간소비 증가율은 1.3%로 지난해(1.1%)보다 0.2%p 높여 잡았다. 추경과 금리인하 효과, 누적된 고물가 영향과 가계부채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년에는 1.7%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투자는 올해 8.2% 감소하며 작년(-3.3%)보다도 상황이 나빠질 것으로 봤다. 건설투자는 2023년 수주·착공 감소 여파로 건축 부문이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 토목부문도 위축돼 감소했다. 다만 하반기부터 점차 부진이 완화되며 내년에는 2.7%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수출은 미국의 관세조치 영향으로 올해 0.2%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선박은 호조세를 보였으나 자동차·철강, 석유제품·화학 수출은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0.6% 감소하고 내년에는 기저효과 등에 도로 0.5% 늘 것으로 봤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가 상품수지 호조, 소득수지 개선 등으로 950억달러에 달하지만 작년(990억달러)보다는 40억달러 적고, 내년에는 800억달러로 150억달러 더 축소한다고 예상했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17만명 늘 것으로 기대했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나 지난 1월 전망(12만명)을 웃돌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물가안정 목표인 2.0%와 같다고 예상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