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과 해양수도 부산 전략' 세미나서 열띤 토의 [파이낸셜뉴스] 부산으로 이전하는 해양수산부 신청사가 위치할 장소로 북항재개발지역이 가장 적합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 5일 수정동 부산일보사 소강당에서 부산 동구와 북항미래포럼 공동 주최·주관으로 열린 '해양수산부 이전과 해양수도 부산의 전략' 세미나(사진)에서 신청사 입지에 대한 주제 발표와 열띤 토론이 있었다.
이날 발제를 맡은 강병균 부산일보 대기자는 해양수산부 신사옥 선정 조건을 크게 4가지로 제시했다. 해양수도 부산을 대표할 수 있는 '상징성', 외지인 방문과 해수부 직원 이동에 편리한 교통 '접근성', 해양 관련 기업·기관과 인접 혁신도시와의 '연계성', '부지 확보 용이성' 등을 중요시 했다.
강 대기자는 "부산역과 가깝고, 새 해양클러스터를 구축할 만한 부지 확보가 수월하며, 동삼·문현 혁신지구 연결로 해양 연구와 해양 금융 기능을 연결하는 오션밸리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입지"라며 "해양수산부가 북항에 들어서면서 북항 재개발사업을 촉진하고, 원도심 활성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세미나 토론자로 나선 정성기 부산항정책연구원장도 해양수산부 신청사 입지로 북항재개발지역이 최적지라는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정 원장은 2019년 3월 출범한 해양수산부 부산항북항통합개발추진단 초대 단장을 맡아 북항재개발 밑그림을 그리고 현장을 지휘한 경험이 있는 이 분야 전문가다.
정 원장은 "해양수산부와 부산시가 북항재개발사업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점을 감안하면 부산항 북항지역 일대가 해양수산부 이전의 전제조건을 충족하므로 다른 지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해양수도 부산'을 대표할 수 있고 해양수산부 직원과 외지인 방문객들이 편리하며, 생활인프라가 잘 조성돼 있는 등의 입지적 장점 많을 뿐 아니라 낙후된 원도심의 경제 활성화에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정 원장은 "북항 1단계 재개발 지역 복합항만지구(국제여객터미널 주차장)의 실제 건축 가능한 면적이 약 3만5000㎡ 수준인 만큼 이곳에는 해양수산부 사옥을 상징성 있게 짓고 나머지 기관들은 IT영상지구의 미매각 부지와 부산본부세관 남쪽 해양문화지구에 분산 배치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지만 토지 분양가격이 높아 이전 기관에 부담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2단계 북항 재개발지역의 경우 재무성이 확보되지 않아 부산시 컨소시엄(부산시, 부산항만공사, LH, 부산도시공사, 코레일) 참여 기관들이 합의를 이루지 못해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어 사업성이 확보되도록 재정 지원 등 선행과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피력했다.
이밖에 3단계 북항재개발지역 남구의 경우 항만기능(신선대, 감만, 신감만)이 유지돼야 하나 제7부두(6만6000㎡)만 부산항내 유휴부두 발생때 이전부지로 활용이 가능하고 영도구 조선소 부지(약 33만㎡)는 토지의 기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부산시 기부채납 부지 활용(약 9만9000~13만2000㎡) 방법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 원장은 "특히, 해양수산부가 부산에 이전해 오면 중앙부처로서 기능과 역할이 강화될 수 있도록 시민들이 적극 도움을 주어 강한 부처로 만들어야만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해양수산부 #장소 #신청사 #재개발지역 #북항지역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