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
미국이 주요 7개국(G7)과 공조해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 중국과 인도를 상대로 최대 100% 2차 관세를 물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일 중국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 |
미국이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 중국과 인도에 최대 100% 관세를 물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나섰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2일(현지시간) 미국이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에서 러시아를 우크라이나 전쟁 평화 협상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대대적인 관세를 물리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G7 재무장관들은 이날 화상회의에서 미국이 제안한 최대 100% 관세 방안을 논의했다.
자신이 취임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을 단기간에 끝낼 수 있다고 호언장담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휴전을 늦추면서 우크라이나 공세를 강화하면서 체면을 구기자 보복을 준비해왔다.
FT는 미국 측이 화상 회의에 앞서 G7 재무장관들에게 “G7은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 것에 관해 즉각 50~100% 2차관세를 물려야 한다”고 촉구하는 입장문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입장문은 아울러 “G7은 주로 중국, 인도 같은 조력자, 부당 이득자들을 겨냥해 이들로 인해 전쟁이 더 지속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트럼프는 앞서 10일 유럽연합(EU)에 중국, 인도를 대상으로 최대 100% 관세를 물릴 것을 종용한 데 이어 이제 이를 G7 전체로 확대하려 하고 있다.
미 재무부는 대변인을 통해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 석유를 구매하는 것은 푸틴의 전쟁 기계 자금을 대는 것으로 무자비한 우크라이나 국민 살상을 연장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재무부는 이어 “앞서 미국은 EU 동맹들에게 그들의 뒷마당에서 벌어지는 이 전쟁을 끝내는 것에 진심이라면 미국과 함께 전쟁이 끝나는 날 철회될 의미 있는 관세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EU는 이에 대해 미온적인 것으로 보인다. 주요 교역 파트너인 중국과 인도에 이 같은 대규모 관세를 물리는 것은 EU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국의 보복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EU는 현재 인도와 수주일 안에 무역합의를 계획하고 있어 인도 관세 역시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FT는 정부 관리 3명의 말을 인용해 EU가 대안에는 열려있다고 전했다. 러시아를 계속 압박하고, 우크라이나를 도와야 한다는 원칙에는 합의하지만 관세 같은 무역 정책은 EU 집행위원회의 몫이라는 것이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다음 주 트럼프가 영국을 국빈 방문할 때 중국과 러시아에 2차 관세를 물리기보다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 기업들을 제재하자고 트럼프를 설득할 전망이다.
영국은 12일 러시아 유조선 100척, 기업, 개인들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과 인도에 대한 100% 2차 관세 외에도 현재 벨기에에 묶여 있는 러시아 국유자산 수천억달러를 압류하자는 제안도 하고 있다. 아울러 러시아 최대 석유 업체 로스네프트에 대한 제재, 러시아 해운 제재 강화, 지급결제 시스템 미르(Mir)를 포함한 금융 제재 강화 등도 제안하고 있다.
벨기에에 근거지를 둔 국제 지급결제 시스템인 스위프트(Swift) 접근이 차단된 러시아 은행들은 자체 결제 시스템인 미르를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 은행들은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스위프트 접근이 차단됐다.
#미국 #중국 #인도 #관세 #러시아 석유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