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4년째 묻힐 곳 못찾은 전두환 유해…연희동 자택에 봉안?

파이낸셜뉴스 2025.09.14 10:01 댓글 0

지난 2021년 11월 27일 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 임시안치를 위해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21년 11월 27일 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 임시안치를 위해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오는 11월 사망 4주기를 맞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를 ‘자택 봉안’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전 전 대통령 측은 유해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 봉안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유해는 유골함에 담겨 약 4년째 자택에 임시 안치 상태다.

이와 관련해 전 전 대통령은 내란죄 등으로 실형을 선고받았기 때문에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유족들은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는 회고록 내용에 따라 지난 2023년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 토지를 가계약했으나, 해당 사실이 알려진 뒤 지역 여론의 거센 반발에 토지주가 계약을 포기했다.

이후 장지를 구하지 못했고, 연희동 자택 마당 봉안 방안이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2021년 연희동 자택도 전 전 대통령 차명재산으로 보고 환수 소송을 냈다. 그러나 지난 2월 서울서부지법은 “사망으로 추징금 채권이 소멸했다”며 각하했다. 정부의 환수로 오는 11월 20일 서울고법에서 2심 선고가 이뤄질 예정이다. 현재 추징금 2200억 원 중 860억 원가량이 환수되지 못한 상태다.

한편 연희동 자택에는 이순자 씨가 머물고 있다. 경찰 전담 경호대 인력이 24시간 상주한다. 임기를 채운 전직 대통령과 가족들은 대통령경호처 경호를 10년 동안 받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 5년 연장할 수 있다. 이후 경찰로 경호업무가 이관되게 돼 있다.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담 경호대에 투입된 예산은 2245만 원이었다.
#전두환 #유해 #연희동 #봉안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