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 '외환시장 영향' 최소화
한국 정부가 최근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재개를 공식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획재정부는 14일 "현재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협의 중에 있다"며 "다만 한미 간 협의 중인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드릴 수 없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의 투자 요구 규모(3500억달러)가 한국 외환보유액(약 4300억달러)의 80% 이상에 달하면서, 실제 자금 유출이 현실화 될 경우 외환시장 전반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 이 정도의 자금이 유출될 경우 외환시장은 물론 금융시장 전반에 심각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 비기축통화국으로 달러 자금 수요가 한꺼번에 커질 경우 원화 급락, 외환보유액 급감, 외국인 자금 이탈 등 연쇄적 시장 충격 가능성이 제기된다.
통화스와프는 유사시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정해진 환율에 따라 상대국 통화를 빌려오는 계약이다. 외환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막는 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정부는 2021년 종료된 한·미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협정의 부활을 추진해 시장 불안이 증폭될 경우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