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부터 약 한 달간 '무승객 시범운항'
초기 기술적 미세 결함 오류 점검...선박 기계·전기 안정화
정기권 구매자 환불 등 조치..."시민 불편 최소화"  |
| 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정식 운항 나흘만에 1만명 탑승객을 태운 '한강버스'가 오는 29일부터 시민 승객을 당분간 받지 않는다. 운항 열흘간 잦은 결항·회항이 일어나며 초기 기술적 결함·오류를 다시 점검하기 위해서다. 이미 정기권 등을 결제한 승객에는 추가지불액을 환불하고 점검 이후에는 운항 시각을 당기고 배차 간격도 줄일 계획이다.
서울시는 29일부터 약 한 달간, ‘한강버스’에 승객 탑승을 일시 중단하고,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한다고 28일 밝혔다.
국내 최초로 한강에 도입한 친환경선박 ‘한강버스’는 운항 초기 최적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술적, 전기적 미세 결함 등 오류를 겪어왔다. 지난 22일에는 2척이 전기 계통 문제로 운항을 중단했고, 지난 26일에는 방향타 이상 문제로 한 척이 회항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그 즉시 정상화 조치를 취했지만 장기적으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좀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운항을 위해 시범운항 기간을 갖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운항 초기에는 예측·예방이 어려운 경미한 기술적 오류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관련부서와 ㈜한강버스는 "선장과 운항인력 등 현장관계자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끝에 안정적 운항을 위해 시범운항을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한 달여간 이어질 ‘무승객 시범운항’은 기존과 동일하게 양방향 7회씩 하루 총 14회, 현재 운항시간표 그대로 실제와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 운항한다.
시범운항을 통해 선박별로 운항 데이터를 축적해 운항 품질 개선에 활용하고, 각종 시나리오와 날씨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선박과 인력 대응 전략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선체 주요 부품과 기계·전기계통의 통합 성능 최적화와 안정화도 동시에 진행한다.
또 한강버스 선장과 기관장을 포함한 운항 인력의 업무 숙련도·서비스도 향상한다. 정비 인력들은 제작사 엔지니어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선박별 고도화된 맞춤 정비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서울시는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인한 시민불편 최소화를 위해 한강버스 누리집과 카카오맵 등 모빌리티앱을 통해 변경사항을 신속하게 안내 및 상담 예정이다.
한강버스 정기권 구매자들에게는 추가지불액(5000원)을 환불할 계획이다. 자세한 절차는 티머니 홈페이지와 모바일 티머니 앱, 개별 문자 등을 통해 안내한다.
서울시는 시범운항 종료 후, 하이브리드·전기 선박을 추가 투입해 배차 간격을 단축하고, 운항 시작시간도 앞당겨 시민 편의를 높일 예정이다. 또한 운항 초기 시민 불편 및 제안 사항을 분석해 반영하기로 했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열흘간 약 2만5000여명의 시민이 탑승한 한강버스를 앞으로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영하기 위한 불가피한 시범운항으”이라며 “체계적이고 철저한 시범 운항을 통해 한강버스가 서울을 대표하는 더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수상교통수단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