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대대적인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5일 트럼프 관세가 미 정부 재정 수입을 늘리기는 했지만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자를 정상화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서 의회사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EPA 연합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수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자는 여전히 세계 최고 부자나라들 가운데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가 15일(현지시간) 지적했다. IMF는 아울러 미국이 “되도록 빨리” 재정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IMF는 이날 재정모니터 보고서에서 미국의 일반 정부 통합 재정수지가 선진국 가운데 최고가 될 것으로 우려했다. 통합 재정수지에는 채무에 대한 이자 지급도 포함된다.
IMF는 미국이 올해 또 오는 2029년까지도 최고 재정적자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다른 부자 나라들과 달리 재정적자 감축에서 어떤 진전도 이루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IMF의 최신 전망에 따르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올해 125%에 이르러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2029년에는 143%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WB)과 공동으로 IMF 연차총회가 지난 13일 워싱턴 DC에서 시작된 가운데 IMF 재정부문 책임자 비토 가스파는 미 의회에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조처들을 “되도록 빨리” 입안할 것을 촉구했다.
퇴임을 앞둔 가스파는 재정적자와 부채를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만들면 금리 상승 압박이 낮아지고, 글로벌 금융 시장의 건전성에도 보탬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나아가 이렇게 되면 민간 부문의 기술 투자 여력이 더 높아진다면서 미국의 인공지능(AI) 투자 붐에 대응할 수 있는 자금 마련이 가능해진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달러가 기축통화라는 점에 힘입어 다른 나라들보다 더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왔다. 그러나 시장의 인내심은 점차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과 여러 나라의 국채 장단기 금리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정부에 돈을 빌려주는, 국채를 매입하는 것에 대해 점점 우려하고 있다는 신호다.
IMF는 오는 2029년이 되면 전세계 정부 부채 비율이 GDP의 10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MF는 아울러 트럼프의 관세는 원래 목적인 무역적자 해소에는 큰 효과 없었지만 역설적이게도 관세 수입이 연방 정부의 재정적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돈줄’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가스파는 이 관세 수입이 상당한 규모이기는 하지만 미 재정적자를 대거 낮추고, 공공부채를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줄일 정도로 충분치는 않다고 지적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