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美 ‘3500억달러 선불 요구’ 철회 시사…한미 협상 막판 진전

파이낸셜뉴스 2025.10.17 05:54 댓글 0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G20재무장관회의를 계기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양자간의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기재부 제공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G20재무장관회의를 계기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양자간의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기재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뉴욕=이병철 특파원】한미 통상협상이 막바지 조율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미국이 한국 측에 요구해온 '3500억달러(약 500조원) 대미투자 선불 지급' 조건을 철회할 가능성이 커졌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동행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전날 주요 20개국(G20) 회의장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났다"며 "베선트 장관은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이 한국 뿐 아니라 미국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미국이 요구한 '업프런트(선불)' 방식이 한국 입장에서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베선트 장관이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통상협상 주체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관련 논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그 부분을 미국이 이해하고 있으니 우리로서는 좋은 신호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국 측의 '선불 지급' 요구를 막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냐는 질문에 "그 부분을 (미국 측이) 이해하고 있으니까 그런 측면에서는 우리한테 좀 좋을 수 있다"고 답했다. '선불 지급 요구 철회 가능성과 관련해 유의미한 진전이 있다는 의미냐'는 물음에는 "그렇게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통화스와프와 관련한 다양한 관측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최근 일각에서는 한국이 대규모 대미투자에 따른 외환 부담 완화를 위해 '아르헨티나 방식' 스와프 체결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그러나 그는 "통화스와프가 협상의 전제조건이거나 결정 변수는 아니다"며 "협상 결과에 따라 필요한 외환 조달 방식이 달라질 수 있고, 스와프는 여러 대안 중 하나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관세 협상의 본체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러트닉 미 상무장관 간 협의이며 미 재무부는 외환시장 안정성 측면에서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함께 미국 관리예산국(OMB)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IMF 회의 일정을 이유로 불참했다. 그는 "OMB 방문은 미국이 관심을 갖는 조선업 협력사업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관련 협의를 위한 것으로, 산업부가 주도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 시점과 관련해서는 "국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최대한 빨리 협상을 진행하겠지만 시점을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자동차 관세 25% 문제는 속도를 내서 타결하는 게 좋지만 내용이 나쁘게 빨라지는 건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앞서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향후 10일 내로 결과를 기대한다"고 밝히며 APEC 정상회의(21일 개막) 전 타결 가능성을 시사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특파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