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불 어려운점 베선트 이해…"러트닉 및 행정부 설득 요청"
"3500억달러 투자 방식에 따라 외환 안정성 재차 점검해야"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건물에서 특파원들과 만나 한미 후속 무역협상 진행 상황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미 무역협상의 막판 쟁점인 3500억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선불 요구’와 관련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한국의 현실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지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한국 특파원단과 만나 “한국 입장에서는 3500억달러를 선불로 납입하기 매우 어렵다는 점을 여러 차례 설명했고, 베선트 장관도 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미 투자 ‘선불 요구’가 한국 외환시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고, 베선트 장관은 이 입장을 행정부 내에 공유하겠다고 약속했다.
베선트 장관이 '선불 요구' 철회를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선 “(미국) 정부에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해달라고 하는 상황”이라며 “철회했다, 안 했다고 이야기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 투자를 어떻게 할지 그 스킴(scheme·계획)에 따라 외환 안정성을 점검해야 한다"며 "3500억 달러를 선불로 하게 되면 외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고, 그 스킴에 한국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돼 외환 영향이 적어진다면 저희가 보완해야 할 사항은 적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3500억 달러 대미투자 패키지에서 현금 지분 투자, 대출·보증이 어떤 비중으로 구성되느냐에 따라 한국 외환시장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투자 방식이 가닥이 잡힌 뒤에 외환시장 안정 방안도 논의돼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우리 정부는 대미 투자 패키지에 대출과 보증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행정부 실무진은 이해하고 있지만, 최종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얼마나 설득당해 수용하느냐가 핵심 변수”라며 “그 부분은 불확실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구 부총리는 또 미국 측과 1500억달러 규모의 조선(Shipbuilding) 분야 특화 투자안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MASGA(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해 한국이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백악관 관리예산국(OMB)을 찾은 것도 이와 관련된 설명과 협의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로서는 *미국이 가장 필요로 하는 조선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다”며 “해당 분야는 양국의 이해가 맞닿아 있어 미국 정부 내부 설득에도 유리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투자금 집행 시기를 최대 10년으로 분할하고 원화로 조달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