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산사태 피해 산청 현장 방문
잦아진 집중 호우에 맞는 복구예방 시스템 보완
대피 없는 안전체계 구축, 청년농·임산물 지원 검토 [파이낸셜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19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을 찾아 산불 피해 및 복구현황을 보고 받은 뒤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19일 경남 산청군을 찾아 산불·산사태 피해 복구 현장을 점검하고 이재민들을 위로했다. 지난 3월 대형 산불과 7월 집중호우로 연이어 피해를 입은 산청군을 직접 찾아 정부 차원의 복구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김 총리는 “다시는 국민이 삶의 터전을 두고 대피하는 일이 없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며 “복구는 단순한 원상회복이 아니라 재난에 더 강한 지역으로 거듭나는 과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총리는 시천면 상지마을 산불 피해지,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임시거주시설, 신안면 외송마을 산사태 현장을 차례로 방문했다.
현장에는 이승화 산청군수, 정영철 부군수,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 천성봉 도민안전본부장,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이미라 산림청 차장 등이 동행했다.
정영철 부군수는 “산불로 인명피해 14명, 재산피해 약 216억원이 발생했다”며 “사유시설 복구 78.7%, 공공시설 31.3%가 진행 중”이라고 보고했다.
김 총리는 피해지 곳곳을 직접 확인하며 복구계획을 점검했다. 산청군이 건의한 청년농업인 대출 및 재해보험 확대 지원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가 적극 검토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검게 그을린 산자락만 봐도 주민들이 급박하게 대피했던 모습이 눈앞에 그려진다”며 “다시는 국민이 삶의 터전을 두고 대피하시는 일이 없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산사태 방지를 위한 사방댐의 역할에 대해 묻고, 이미라 산림청 차장에게 “향후 복구 과정에서 사방댐 등 산사태 방지 인프라를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그는 “산불이나 산사태 발생 시 특히 고령층은 신속한 대피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다”며 “사전 주민대피와 대피훈련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피해 산림 복구가 단순히 이전의 모습을 회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재난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공간을 만드는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정부가 다방면으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서 한 주민이 “약초나 고사리 등 임산물 채취 농가 지원이 미흡하다”고 호소하자 김 총리는 “산불특별법이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만큼, 임산물 피해 지원 대책을 직접 챙기겠다”고 약속했다.
김 총리는 이재민들이 임시 거주 중인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을 찾아 피해 주민들을 만났다.
그는 “산불과 집중호우가 발생한 지 한참 지났는데 아직 돌아갈 집을 마련해드리지 못해 총리로서 면목이 없다”며 “겨울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위로했다. 또 “산불특별법상 국무총리 소속으로 위원회가 설치되는 만큼 피해자 지원과 지역 재건이 신속하고 내실 있게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신안면 외송마을 산사태 복구현장에서는 "산청은 전국에서 피해가 가장 컸다. 마을이 쓸려나간 상능마을 주민들이 일상을 되찾을 때까지 불편함이 없도록 해달라"며 "복구 공사 중에도 폭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히 대비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복구 공사 중에도 비가 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철저히 대비하라”며 “정부의 산사태 대응 체계를 재점검하고, 잦아진 집중호우에 맞는 복구·예방 시스템으로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김준혁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