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위성정보 AI 학습 데이터셋 활용 분야(예시). 우주항공청 제공 |
[파이낸셜뉴스] 우주항공청은 국가 위성정보를 활용한 ‘2025 위성정보 빅데이터 AI 학습 데이터셋’을 약 15만 건 규모로 공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데이터셋은 최근 위성 산업과 인공지능 연구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해양 모니터링과 토지피복 변화 탐지를 핵심 주제로 설계·구축됐다. 우주항공청의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지원체계 개발사업’ 주관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데이터셋 구축을 수행했다.
우주항공청은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지원체계 개발사업’을 통해 2023년부터 63만건 이상의 위성정보 AI 학습 데이터셋을 체계적으로 구축·공개해 왔으며, 이번 공개로 산업계와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한층 더 확대된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3A호, 5호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대규모 AI 학습 데이터셋을 공개해 위성영상 분석의 정확도 향상과 활용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게 된다.
이번에 공개되는 데이터셋은 약 15만건으로 해양모니터링 관련 6개 데이터셋(양식장, 유류 유출, 해안선, 선박, 육빙, 해빙)과 토지피복 시계열 변화 데이터셋으로 구성된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신규 데이터셋 외에도 객체 탐지(88만장), 건물 분할(35만장), 도로(1만㎞이상), 구름 탐지(7500장), 토지피복 분류(1200장) 등의 대규모 데이터셋을 구축·공개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모든 공개 데이터셋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을 통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우주항공청 한창헌 우주항공산업국장은 “국가 위성영상을 활용한 AI 학습 데이터셋은 국내 연구자와 산업계의 위성영상 활용도를 크게 높이고, 나아가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및 우주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새로운 수요를 적극 반영해 위성영상 기반 AI 학습 데이터셋을 지속적으로 구축·공개하겠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