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한중 정상회담 자리…샤오미폰 건네며 나눈 대화
李 대통령 샤오미 '통신 보안' 질문에 "뒷문" 농담 후 웃음                 |     
         |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경북 경주시 소노캄 그랜드볼룸에서 한중 국빈만찬에 앞서 선물을 교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1.2 /뉴스1 |     
    
 [파이낸셜뉴스] '정상외교 슈퍼위크'가 끝난 뒤에도 후일담은 계속 나오고 있다. 최근 외신은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중국산 스마트폰 샤오미를 선물하며 나눈 농담을 두고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지난 1일 이 대통령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빈 방한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선물을 주고 받았다.  
시 주석이 전달한 선물 중 하나인 샤오미의 스마트폰을 받아든 이 대통령은 "통신보안은 잘 되느냐"고 농담을 건넸고 시 주석은 "뒷문(백도어·해킹 수단을 의미)이 있는지 한번 확인해 보라"고 받아친 뒤 함께 웃음을 터뜨렸다.   
 NYT "국가간 감시 공공연한 비밀.. 농담으로 한 두 정상"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일(현지시간) "각 국가들은 서로를 감시한다는 걸 공공연한 비밀로 하고 있다. 세계 지도자들이 공개적으로 간첩 행위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이유"라며 "하지만 지난 주말 중국의 최고 지도자 시진핑과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 사이의 농담이 화제가 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이 이 대통령에게 스마트폰을 건넨 장면을 설명했다.  
NYT는 "시 주석이 공개 석상에서 즉흥 발언하는 모습은 거의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교류다. 유쾌한 만남은 경제 협력으로 양국 관계를 강화하려는 두 정상의 노력을 반영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존 델러리 전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흥미로운 점은 각국 정상들은 만날 때 '나는 너를 감시하고, 너는 나를 감시한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신사들끼리의 옛날식 약속'"이라며 "그런데 그들은 오히려 첩보 활동과 감시라는 비밀스러운 세계를 장난스럽게 언급하며 웃어 넘기고 있다"며 시 주석이 중국 제품과 감시를 둘러싼 우려를 인정하는 듯 보였다고 평가했다.  
NYT에 따르면 그동안 미국 등에선 샤오미가 중국 공산당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중국산 제품이 간첩 활동에 쓰인다는 지적을 해 왔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샤오미를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또 중국의 스마트폰,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와 거래한 미국 기업은 향후 국방부 계약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중국이 한국의 선거에 부당하게 개입하고 있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돼 온 사실을 전했다.  
중국 정부는 이 같은 주장들을 전면 부인해 왔다.  
델러리 전 교수는 "시 주석이 '농담과 풍자'로 우려를 일축하고 한중 기업 협력을 강조했다"고 분석했다.   
 가디언도 "시진핑 민감 주제에 농담, 드문 일" 
 영국 일간 가디언도 3일 "시 주석이 간첩과 같은 민감한 주제에 대해 농담을 하는 경우가 드물다"면서 "이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화가 TV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시 주석의 거침없는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매우 드문 기회"라고 보도하며 지난 9월 중국 전승절 열병식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불로장생'에 대해 나누던 대화가 우연히 공개된 일을 거론했다.  
가디언은 용산 대통령실 김남준 대변인을 통해 두 정상 간 유쾌한 대화의 의미를 설명했다.   
 김남준 대변인 "이틀간 여러차례 만나.. 개인적 케미" 
 김 대변인은 "이틀간 정상회담에서 여러 차례 만난 두 정상이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했다는 증거"라며 "환영식과 선물 교환, 만찬과 문화 공연까지 두 정상은 서로 소통하고 개인적인 케미를 쌓을 수 있는 여러 기회를 가졌다. 그런 케미가 없었다면 그런 농담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AFP통신 역시 "시 주석은 간첩 행위에 관해선 당연하고 농담하는 모습 자체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며 시 주석이 10여년 만에 한국을 방문해 이 대통령과 '유쾌한 대화'를 나눴다고 소개했다.
y27k@fnnews.com 서윤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